초등생 등교길 유괴 미수 사건, 우리 아이는 안전한가?

거리·시간·고도·속도·열량·수분·기온·일출/일몰 등 핵심 계산을 카드 10장으로 정리했습니다. 추정치는 개인 체력·노면·날씨에 따라 달라집니다.
시간(시간) = 거리(km)/5 + 상승고도(m)/600
예) 12 km, 상승 900 m → 12/5 + 900/600 = 2.4 + 1.5 = 3.9시간
하강/거친 지형·휴식은 미반영 → 10~30% 여유 권장.
시간 = (거리 마일 × 0.5시간) + (상승 1,000ft 당 0.5시간)
예) 10 km(=6.21 mi), 상승 800 m(=2,625 ft) → 6.21×0.5 + 2.625×0.5 ≈ 4.42시간
Naismith보다 조금 길게 나오므로 안전 마진 확보에 유리.
속도(km/h) = 6 × e-3.5×|경사 + 0.05| (경사 = 고도증가/수평거리)
예) +5% 경사(0.05) → 6×e-3.5×|0.1| ≈ 4.9 km/h, -10% → ≈ 5.0 km/h
빙설·암릉·진흙 등 노면 상태는 별도 보정 필요.
지표 | 계산 | 의미 |
---|---|---|
누적상승(Ascent) | 모든 (+)고도차 합 | 심폐 부담·시간 증가 요인 |
누적하강(Descent) | 모든 (–)고도차 합 | 무릎·발목 충격 위험 |
평균기울기 | (누적상승 ÷ 수평거리) | 경사 난도 가늠 |
예) 수평 11 km, 누적상승 950 m → 평균 기울기 ≈ 8.6%
수평속도 = 거리 / 시간, 수직속도(VAM) = 상승고도 / 시간
예) 2시간에 700 m 상승 → VAM = 350 m/h (중급)
구간별 VAM을 보면 과속/과로 구간을 조기에 파악 가능.
칼로리(kcal) ≈ MET × 체중(kg) × 시간(h)
활동 | MET 범위(근사) |
---|---|
완만한 하이킹 | 6.0–7.0 |
중등 경사(배낭) | 7.5–9.0 |
가파른 경사/오프로드 | 9.5–11+ |
예) 70 kg, MET 7.5, 4 h → 7.5×70×4 = 2,100 kcal
바람·추위·배낭무게↑ 시 MET 상향. 저혈당 예방을 위한 간식 계획 필수.
일반 권장: 400–800 mL/시간 · 더위/고강도: 0.8–1.0 L/시간
예) 6시간 여름 종주(고강도) → 0.8 L×6 = 4.8 L (전량 휴대 어려우면 보급지 계획)
저나트륨증 방지: 2–3시간 이상은 전해질(나트륨 300–600 mg/시간) 보충 고려.
건조단열감율 ≈ –9.8℃/1,000 m · 습윤단열감율 ≈ –5~7℃/1,000 m
예) 기온 20℃, 고도 +1,200 m → 체감 20 – (1.2×6.5) ≈ 12.2℃ (바람 있으면 더 낮아짐)
강풍·우설 시 윈드칠(풍냉) 고려: 보온 레이어 추가.
가용 일광시간 = 일몰시각 – 일출시각 – 여유(≥30–60분)
예) 일출 06:00 / 일몰 19:30 → 13.5 h – 0.5 h = 13 h 계획
황혼(민간·항해·천문 황혼) 구간은 시야 급저하 → 하산 시작 목표를 더 앞당기기.
턴어라운드 = (일몰 – 하산 여유 – 사고여유) – 하산예상시간
예) 일몰 19:30, 하산 2h, 여유 1h → 19:30 – 3h = 16:30 이전 정점 미달 시 회귀
기상악화·팀 컨디션 부진 시 즉시 보수적으로 조정.
항목 | 빠른 근사 | 메모 |
---|---|---|
평지 페이스 | 4–5 km/h | 배낭·노면에 따라 3–6 km/h 변동 |
상승 속도(VAM) | 초보 250–350 m/h · 중급 350–500 m/h | 짧은 급경사 구간은 낮아짐 |
하강 페이스 | 상승보다 10–30% 빠름 | 무릎/노면에 크게 좌우 |
에너지 | 400–600 kcal/시간 | 강도·체중에 따라 ±50% |
수분 | 0.4–1.0 L/시간 | 더위·고도에서 상향 |
※ 본 표는 계획용 근사치입니다. 실제 산행 중에는 현장 관측(심박·속도·체감)을 최우선으로 조정하세요.
댓글
댓글 쓰기